맨위로가기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는 이탈리아의 악기 제작자로서, 피아노의 초기 형태인 피아노포르테를 발명한 인물이다. 1688년 피렌체의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의 고용으로 악기 제작 및 관리를 시작했으며, 1700년경 피아노를 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 크리스토포리는 스피네토네, 오발 스피넷 등 건반 악기를 개발했으며, 그가 제작한 피아노는 현재 세 대가 남아있다. 그의 피아노는 독창적인 건반 작용 장치와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후대 피아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프시코드 제작자 - 고트프리트 질버만
    고트프리트 질버만은 독일의 오르간 및 건반 악기 제작자로, 작센 지역에서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하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와의 교류를 통해 피아노 제작 기술을 발전시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악기 제작자 - 프란체스코 란디니
    프란체스코 란디니는 14세기 이탈리아 트레첸토 양식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가수, 시인, 악기 제작자로, 맹인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음악가로 칭송받았으며, '란디니 종지'라는 독특한 종지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고 그의 세속 발라타 작품은 스콰르찰루피 사본에 상당수 보존되어 14세기 이탈리아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이탈리아의 악기 제작자 - 무치오 클레멘티
    무치오 클레멘티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가, 피아노 제작자로서, 피아노 소나타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고전파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악기 발명가 - 히라사와 스스무
    1954년생 일본 뮤지션 히라사와 스스무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만드레이크와 전자 음악 밴드 P-Model을 거쳐 솔로 데뷔 후 실험적인 음악 활동, 독창적인 세계관, 인터랙티브 라이브 공연, 애니메이션 및 게임 음악 제작 등 폭넓은 활동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이다.
  • 악기 발명가 - 발터 네른스트
    발터 네른스트는 열역학 제3법칙을 확립하고 네른스트 식을 발표하여 현대 물리화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전기화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기고 19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과학자이다.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디 프란체스코
출생1655년 5월 4일
출생지파도바, 베네치아 공화국
사망1731년 1월 27일
사망지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직업발명가, 악기 제작자
활동 기간해당 없음
알려진 업적피아노 발명
주요 작품해당 없음

2. 생애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의 생애에 대한 자료는 출생 및 사망 기록, 유언장 2통, 고용주에게 보낸 청구서, 스키피오네 마페이와의 인터뷰, 마페이의 기록과 출간된 잡지 기사 등이 있다.

크리스토포리는 베네치아 공화국 파두아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니콜로 아마티의 도제였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스튜어트 폴렌스는 크리스토포리의 나이(당시 25세)와 인구 조사 기록(13세)이 달라 사실이 아니라고 지적했다.[40]

1688년, 33세의 크리스토포리는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에게 고용되어 피렌체로 이주했다.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페르디난도는 음악 애호가였다. 페르디난도가 크리스토포리를 고용한 이유는 불분명하나, 단순 기술자가 아닌 악기 혁신가로 고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피렌체에는 유능한 인재가 많았지만, 페르디난도는 크리스토포리에게 더 높은 급여를 지불했고, 청구서에 피아노포르테 기록이 없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크리스토포리는 매달 12 스쿠디를 받고 1688년 5월 피렌체에서 악기 조율, 유지, 운송, 새로운 악기 개발을 했다. 초기 작업 공간은 우피치 미술관 갤러리아 데이 라보리였으나, 소음 문제로 전용 공방을 얻었다.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는 1655년 5월 4일 베네치아 공화국의 파두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저명한 바이올린 제작자 니콜로 아마티의 도제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이는 1680년 인구 조사 기록에서 크레모나의 아마티 저택에서 "크리스토파로 바르톨로메이"라는 인물이 거주했다고 나오는 것에 근거한다. 그러나 스튜어트 폴렌스는 인구 조사에서 13세로 기록된 반면에, 크리스토포리의 세례 기록에 따르면 그는 당시 25세였으므로,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했다.[40]

크리스토포리가 기록에 처음 나타난 것은 1688년 33세 때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에게 고용된 것으로, 이것은 크리스토포리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다.

2. 2. 메디치 가문에 고용

1688년, 33세의 크리스토포리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의 궁정 악기 제작자로 초빙되어 피렌체로 이주했다.[3] 페르디난도는 음악 애호가이자 후원자로, 크리스토포리를 단순한 악기 관리자가 아닌 새로운 악기 개발자로 고용했을 가능성이 있다.[3] 당시 피렌체에는 유능한 인재들이 많았음에도 크리스토포리가 고용되고 전임자보다 높은 급여를 받았다는 점, 그리고 크리스토포리가 제출한 청구서에 피아노포르테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점은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3]

크리스토포리는 매달 12 스쿠디의 급여를 받았으며,[3] 악기 조율, 유지, 운송뿐만 아니라 새로운 악기 개발에도 힘썼다.[3] 초기 작업 공간은 우피치 미술관의 갤러리아 데이 라보리에 있었으나, 소음 문제로 인해 불만을 품고 전용 공방을 얻었다.[3]

2. 3. 초기 악기 개발

크리스토포리는 17세기 말, 피아노를 발명하기 전에 스피네토네와 오발 스피넷이라는 두 가지 건반 악기를 발명했다.[42] 이 악기들은 1700년 페르디난도 대공의 소장 악기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4]

스피네토네는 이탈리아어로 "큰 스피넷"을 의미하며, 여러 음색(스톱)을 가진 대형 스피넷이었다. 일반적인 스피넷은 8피트 음색 한 줄(1 x 8')만 가지고 있지만, 스피네토네는 8피트와 4피트 음색(1 x 8', 1 x 4')을 모두 가지고 있어 더 풍부하고 큰 소리를 낼 수 있었다.[43] 이 악기는 극장 공연 시 좁은 오케스트라 피트에서도 충분한 음량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

thumb

오발 스피넷(1690년)은 매우 독창적인 형태의 버지널로, 가장 긴 현이 악기 케이스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크리스토포리는 스피네토네와 오발 스피넷 외에도 클라비치테리움(수직 형태의 하프시코드)과 일반적인 이탈리아식 하프시코드(2 x 8' 음색) 두 대 등 기존의 건반 악기도 제작했다.[44] 특히 하프시코드 중 한 대는 에보니로 만들어져 특별함을 더했다.

2. 4. 피아노의 발명

Arpicembaloit는 문자 그대로 "하프-하프시코드"를 의미하는데, 크리스토포리 시대에는 일반적인 용어가 아니었다. 에드워드 구드는 이 용어가 크리스토포리 자신이 그의 악기에 붙인 이름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46] 시간이 지나면서 "피아노"라는 단어가 정착되었다.

1700년 메디치 가문의 악기 목록에는 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제작의 "아르피쳄발로", 부드럽고 크게 울리는 새로운 발명품, 동도 현 두 세트, 장미 무늬 없는 사이프러스 향판..."

이 악기의 음역은 C에서 c″″′까지 4옥타브였다.[47]

메디치 궁중 음악가 페데리고 멕코이는 조제포 차를리노의 저서 《이스티투티오니 하르모니케》의 여백에 다음과 같은 메모를 남겼다.

:"이러한 방법들로 가장 고귀하신 토스카나의 페르디난도 대공의 하프시코드 제작자 파두아의 장인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파니가 1700년 발명한 아르피침발로 델 피아노 에 포르테를 연주할 수 있다."

1711년까지 크리스토포리는 세 대의 피아노를 제작했다. 한 대는 로마의 오토보니 추기경에게 선물되었고, 두 대는 피렌체에서 팔렸다.[7]

2. 5. 말년

1713년, 크리스토포리의 후원자였던 페르디난도 대공이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1] 그 후에도 크리스토포리는 코시모 3세가 통치하는 메디치 궁정을 위해 계속 일했으며, 1716년 악기 수집 목록에는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관리인"이라는 서명이 있어 크리스토포리가 악기 컬렉션 관리인 지위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41]

18세기 초 메디치 가문의 번영이 기울면서, 크리스토포리는 자신의 악기를 외부에 판매하기 시작했다.[41] 악기 구매자 중에는 포르투갈의 왕도 있었다.[41]

1726년에는 크리스토포리의 유일한 초상화가 그려졌다.[41] 이 초상화에는 발명가가 피아노로 보이는 악기 옆에 자랑스럽게 서 있고, 왼손에는 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 액션 도표가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종이가 들려 있다. 그러나 이 초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소실되어 사진만 남아있다.[41]

크리스토포리는 죽기 전까지 피아노 제작을 계속하며 발명품을 개량했다.[41] 만년에는 지오반니 페리니가 조수가 되었는데, 스승의 뒤를 이어 유명한 피아노 제작자가 되었다.[41] 1739년 최초의 수형 피아노를 제작한 P. 도메니코 델 멜라도 크리스토포리의 조수였다고 하나 진위는 확실하지 않다.

크리스토포리는 만년에 두 통의 유언장을 준비하였다.[41] 1729년 1월 24일 쓰여진 한 통은 모든 공구를 지오반니 페리니에게 증여한다는 내용이다. 같은 해 3월 23일에 쓰여진 두번째 유언장은 대부분의 내용을 바꾸어, 거의 모든 재산을 델 멜라 자매에게 "그의 병환동안 계속되는 간호를 제공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증여하고, 페리니에게는 5 스쿠디만을 물려준다.[41] 폴렌즈는 이 유언장의 다른 증거를 들어 이것이 크리스토포리와 페리니 간의 불화가 아닌, 간병인에 대한 크리스토포리의 도덕적 의무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한다. 크리스토포리는 1731년 1월 27일 75세의 나이로 피렌체에서 사망했다.[41]

3. 크리스토포리 피아노

크리스토포리가 제작한 피아노는 몇 대나 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재 세 대가 남아있다. 이 세 대는 모두 1720년대에 만들어졌다.

로마 국립 악기 박물관 소장의 1722년 크리스토포리 피아노.

  • 1720년 제작: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 후대 제작자에 의해 많은 부분이 개조되어 원래 소리를 잃었다.[48]
  • 1722년 제작: 로마 국립 악기 박물관 소장. 벌레 피해로 연주 불가능.[48]
  • 1726년 제작: 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소장. 과거 연주 녹음이 있으나 현재 연주 불가능.[48]


세 악기 모두 "BARTHOLOMAEVS DE CHRISTOPHORIS PATAVINUS INVENTOR FACIEBAT FLORENTIAE [날짜]"라는 라틴어 명문이 새겨져 있다. 날짜는 로마 숫자로 표기되어 있으며, "파두아의 발명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날짜] 피렌체에서 이것을 만들다"라는 뜻이다.

1720년 크리스토포리 피아노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726년 크리스토포리 피아노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박물관)


크리스토포리 피아노의 해머는 종이를 원형 코일 모양으로 말고 가죽 조각을 덧댄 형태였다. 이는 15세기 종이 오르간 파이프 기술에서 유래했으며, 저음역 배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했다. 현대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저음부 해머가 고음부 해머보다 크다.

크리스토포리 피아노는 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재료를 벤트 사이드 안쪽에 넣어, 현의 장력을 지탱하는 외부 케이스와 분리했다. 이는 음향을 개선하고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현대 피아노도 이 방식을 사용하며, 별도의 철제 프레임이 현 장력을 지탱한다.

조율핀 배열은 특이하게 조율판을 관통하는 방식이었다. 현 교체는 어렵지만, 안정적인 음정을 유지하고 반응이 좋은 터치를 실현했다.

3. 1. 구조 및 특징

크리스토포리가 제작한 피아노는 현대 악기의 거의 모든 특징을 갖추고 있었지만, 금속 프레임이 없는 가벼운 구조였다. 이는 큰 소리를 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철제 보강재는 1820년경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그 이전까지 피아노는 이러한 가벼운 구조를 유지했다. 크리스토포리 악기의 디자인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액션피아노의 액션은 매우 특수한 설계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기구이지만, 그 거의 전부가 크리스토포리의 액션에서 이미 실현되고 있었다.

  • 해머가 현을 계속 쳐서 소리를 멈추게 하는 것을 방지: 크리스토포리 피아노는 해머가 현과의 접촉점에서 1~2mm 정도까지 들어 올려지고, 건반에서 주어지는 마지막 자극에 의해 그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계했다.
  • 연주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증폭: 크리스토포리의 액션에서는 "중간 레버"에 의해 건반의 움직임이 8배 크기로 해머에 전달되었다.
  • 해머가 현을 친 후 불필요하게 현과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 크리스토포리 액션은 "잭"과 "체크"("백 체크")라는 두 가지 기구를 통해 이를 방지했다.


크리스토포리의 액션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워 후대 제작자들이 간략화하려 했으나, 결국 크리스토포리의 방식이 채택되어 현대 피아노는 더욱 복잡한 형태로 발전했다.
해머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 해머 헤드는 종이를 원형 코일 모양으로 말아 접착제로 고정하고, 현과 접촉하는 지점에는 가죽 조각을 덧댄 형태였다. 이는 15세기 종이 오르간 파이프 기술에서 유래했다. 가죽은 해머를 부드럽게 하여 현의 진동에서 저음역의 배음을 강조했다.

현대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저음부 해머는 고음부 해머보다 컸다.
프레임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는 음판을 지탱하는 프레임 재료를 벤트 사이드의 안쪽에 넣어 음판의 건반에서 보이는 오른쪽 끝을 고정하는 부재는, 현의 장력을 지탱하는 외부 케이스와 분리했다. 이는 음판에 현의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울림을 개선하고 왜곡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이 방식은 현대 피아노에도 적용되며, 현대 피아노의 큰 현 장력(최대 20톤)은 별도의 철제 프레임(플레이트)에 의해 지탱된다.
인버티드 레스트 프랭크 (Inverted Restplank)현존하는 크리스토포리 피아노 중 2대에는 조율 핀이 레스트 프랭크를 관통하는 특이한 설치 방식이 나타난다. 조율 해머는 레스트 프랭크 위쪽에서 조작하지만, 현은 아래쪽에서 핀에 감겼다. 현 교체는 어렵지만, 해머 타현 시 현을 너트에 밀착시켜 안정적인 음정을 유지하고, 현을 악기 안쪽에 설치하여 해머를 작고 가볍게 만들어 반응이 좋은 터치를 실현했다.
음판크리스토포리는 이탈리아 하프시코드 제작 전통에서 건반악기의 울림판 재료로 널리 쓰이던 측백나무를 사용했다.[6]
크리스토포리 피아노는 건반 전체에 걸쳐 음 하나당 두 개의 현을 사용했다. 현대 피아노는 중음역과 고음역에는 세 개, 고음 저음역에는 두 개, 저음 저음역에는 한 개의 현을 사용하며, 크리스토포리보다 현의 두께 변화가 더 크다.[14] 크리스토포리의 현들은 음높이에 관계없이 모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었는데,[14] 이는 같은 음높이의 현들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현대 피아노와는 달랐다.

확인된 두 대의 피아노에는 현대 소프트 페달의 전신이 있었다. 연주자는 건반 장치 전체를 4mm 한쪽으로 수동으로 움직여 해머가 두 개의 현 중 하나만을 치게 할 수 있는데("우나 코르다"), 이 장치는 조율을 돕기 위한 것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크리스토포리 피아노의 현이 어떤 금속으로 만들어졌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현은 끊어지면 교체되고, 때로는 복원가들이 현 전체를 교체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초기 기록에는 철선과 황동선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복원 과정에서 변경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3. 2. 현존 악기

크리스토포리가 제작한 것으로 확인된 악기는 현재 9대가 남아있다.[49]

제작 연도악기 종류소장처
1720년피아노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1722년피아노로마 국립 악기 박물관
1726년피아노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1690년오발 스피넷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 부속 악기 박물관
1693년오발 스피넷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불명스피네토네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17세기흑단 케이스 하프시코드피렌체 악기 박물관
1722년하프시코드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1726년하프시코드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1720년대에 만들어진 피아노는 세 대가 남아있다. 이 세 악기에는 모두 다음과 같은 라틴어 명문이 새겨져 있다.

:''BARTHOLOMAEVS DE CHRISTOPHORIS PATAVINUS INVENTOR FACIEBAT FLORENTIAE [날짜]''

날짜 부분은 로마 숫자로 표기되어 있으며, "파두아의 발명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날짜] 피렌체에서 이것을 만들다"라는 뜻이다.


  • 1720년 제작 피아노(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후대 제작자에 의해 많은 부분이 개조되었다. 1938년 향판이 교체되었고, 음역이 F', G', A'-c'''에서 C–f''로 반 옥타브 바뀌었다. 연주는 가능하지만 원래의 소리를 잃었다.[48]
  • 1722년 제작 피아노(로마 국립 악기 박물관 소장): 4 옥타브(C-c³) 음역과 "우나 코르다" 정지를 포함하고 있다. 벌레로 인해 손상되어 연주할 수 없다.[48]
  • 1726년 제작 피아노(라이프치히 대학 악기 박물관 소장): 4 옥타브(C-c³) 음역과 "우나 코르다" 정지를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 연주 녹음이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연주할 수 없다.[48]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 박물관(Museum für Musikinstrumente) 소장의 1693년산 타원형 스피넷


라이프치히 박물관 소장의 크리스토포리 스피네토네


라이프치히 박물관 소장의 1726년산 하프시코드. 배치는 1 × 8피트, 1 × 4피트, 1 × 2피트이다. 8피트, 4피트, 2피트 현의 세 부분으로 나뉜 브릿지와 너트가 있다.


크리스토포리의 말년에 제작된 악기들에는 조수 지오반니 페리니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페리니는 스승이 죽은 뒤 동일한 기본 설계를 이용해 넓은 음역의 피아노를 제작하였다.

4. 평가 및 영향

크리스토포리는 생전에 피아노 제작으로 인정받고 존경받았다. 메디치 가문의 궁정 테오르보 연주자였던 니콜로 수지에는 일기에 크리스토포리를 "건반 악기의 숙련된 제작자이자 피아노포르테의 발명가로 유럽 전역에 알려졌다"라고 기록했다.[49] 파드레 G. B. 마르티니의 도서관에서 발견된 익명의 18세기 음악 사전에는 크리스토포리가 "유명한 하프시코드 제작자"이자 "망치를 사용하는 하프시코드의 발명가"라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크리스토포리 사후 그의 명성은 일시적으로 쇠퇴했다.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피아노가 크리스토포리가 아닌 독일 제작자 고트프리트 질버만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믿었다. 질버만은 피아노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지만, 그의 악기는 망치 작동 방식 설계에서 크리스토포리에 크게 의존했다.[15]

20세기 후반, 오리지널 연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크리스토포리의 악기가 세심하게 연구되었다. 현대 학자들은 크리스토포리의 독창성과 기술적 업적을 높이 평가한다. 뉴 그로브 백과사전은 그가 "엄청난 독창성"을 지녔다고 묘사했고, 스튜어트 폴렌스는 "크리스토포리의 모든 작품은 그 독창성에 놀랍다"라고 말했다. 초기 악기 학자인 그랜트 오브라이언은 크리스토포리를 역사상 가장 뛰어난 건반 악기 제작자 중 한 명으로 꼽으며,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와 동등하게 평가했다.

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 발명은 후대 피아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피아노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악기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웹사이트 Grant O'Brien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문서 Helmholtz pitch notation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http://www.clavianti[...]
[14] 웹사이트 http://www.gutenberg[...]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https://www.bbc.co.u[...]
[19] 간행물 A Zenti harpsichord rediscovered
[20] 서적
[21] 서적
[22] 웹사이트 Bartolomeo Cristofori Italian harpsichord maker https://www.britanni[...]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웹사이트
[35] 웹사이트 http://www.gb.early-[...]
[36] 서적 van der Meer 2005
[37] 웹사이트 http://www.gb.early-[...]
[38] 서적 Puliti 1874
[39] 서적 O'Brien, 2002
[40] 서적 Pollens (1995)
[41] 문서 그랜트 오브라이언 주석
[42] 서적 가이 1969년 저작
[43] 서적 van der Meer 2005
[44] 서적 Hubbard 1967
[45] 논문 The scholarly situation is summarized by Montanari (1991) 1991
[46] 서적 Good (2005)
[47] 문서 Helmholtz pitch notation
[48] 서적 Wraight (2006)
[49] 서적 Kottick (2003)
[50] 서적 Kottick and Lucktenberg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